ISSUE 20
(인도네시아: DJID 출범) 통신인증기관 개편
Global 08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DJID 출범) 통신인증기관 개편 인도네시아 SDPPI 와 PPI 가 합병되어 DJID (Direktorat Jenderal Infrastruktur Digital) 로 승인기관명이 변경되었습니다. 2025년 1월 20일 이후 발행되는 승인서에는 새로운 로고가 적용된 신규 양식과 QR Code 가 적용됩니다. 또한 승인번호 양식도 변경되지만, 기존에 받은 승인서는 계속 유효합니다. 출처: Regulation of the Minister of Communication and Digital Number 1 of 20
ISSUE 20
(멕시코: 현지 시험) WLAN 5 GHz 및 6 GHz 현지 시험 시행
Global 07 : 멕시코 (멕시코: 현지 시험) WLAN 5 GHz 및 6 GHz 현지 시험 시행 2월 10일, 멕시코 IFT (Instituto Federal de Telecomunicaciones) 는 WLAN 5 GHz 및 6 GHz 에 대해 현지 시험 강제화를 발표하였습니다. 기존에 일부 5 GHz 대역은 문서 검토로만 승인을 내주었으나, 이번 발표로 2025년 11월 7일부터 WLAN 5 GHz 및 6 GHz 에서 반드시 현지 시험이 요구됩니다. 그전까지 문서 검토로도 승인이 가능하며, 현지 시험 강제화 이후에 업데이트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출처: IFT-017-2023
ISSUE 20
(모로코: 라벨, SAR 표기) 라벨 및 SAR 표기 사항 업데이트
Global 06 : 모로코 (모로코: 라벨, SAR 표기) 라벨 및 SAR 표기 사항 업데이트 지난 12월 30일, 모로코 ANRT 는 라벨과 SAR 표시 사항에 대해 업데이트를 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내용] 1)적용일: 2025년 1월 1일 2) 라벨 및 SAR 표시 사항 ① ANRT 마킹 필수 표시 - ANRT 로고와 하단에 인증번호를 표기해야 함 (아래 디자인 중 하나를 선택) ② 디스플레이가 있는 제품에 한하여 전자 라벨(E-…
ISSUE 20
(일본: 드론) 휴대전화 등의 상공 이용 도입을 위한 제도 정비
Global 05 : 일본 (일본: 드론) 휴대전화 등의 상공 이용 도입을 위한 제도 정비 최근 이동통신 기기를 드론 등에 탑재하여 상공에서 인프라 시설을 점검 및 공중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수요가 급증하면서, 일본 총무성이 이동통신(휴대전화), BWA 및 로컬 5G의 상공 이용을 위한 제도 정비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습니다. TDD 방식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휴대 전화, BWA 및 로컬 5G의 상공 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정 총무성령(안)을 작성했으므로, 2025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해당 총무성령(안)에 대한 의견 수렴을 진행합니다. 출처: 신세대 모바일 통신 시스템 위원회 보고서(안) 개요
ISSUE 20
(일본: TPMS 및 RKE) 433MHz 대역 TPMS 및 RKE의 법제화
Global 04 : 일본 (일본: TPMS 및 RKE) 433MHz 대역 TPMS 및 RKE의 법제화 일본 총무성(MIC)이 433MHz 대역에서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TPMS) 및 원격 키리스 엔트리(RKE) 시스템 사용을 공식적으로 허용하는 새로운 규정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개정은 2025년 2월 27일 조례 제5호로 공포되었으며, 이를 통해 일본은 국제 기준과의 조화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출처: 전파법 시행 규칙 등의 일부를 개정하는 성령
ISSUE 20
(일본: SAR) 전자파흡수율 및 전자파노출허용 기준의 변경
Global 03 : 일본 (일본: SAR) 전자파흡수율 및 전자파노출허용 기준의 변경 2025년 2월 28일, MIC는 6 GHz 이하 및 6 GHz ~ 10 GHz SAR 측정 관련된 개정사항을 발표하였습니다. 전파법 및 무선설비규칙이 개정 되어,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노출 허용 기준을 명확히 하고, 새로운 측정 방식을 도입하였으며,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6GHz 이하 (변경 전) …
ISSUE 20
(일본: 보안 인증) JC-STAR 보안 인증 제도의 신설
Global 02 : 일본 (일본: 보안 인증) JC-STAR 보안 인증 제도의 신설 일본 경제산업성(METI) 및 정보기술진흥기구(IPA)는 2025년 3월부터 JC-SATR(Japan Cyber-Security Technical Assessment Requirements) 제도를 시행할 계획입니다. 이 제도는 기존의 IoT Security 와는 별개로, 자발적 보안 인증 제도로서, IoT 제품의 보안 수준을 평가하여 인증라벨을 부착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하였습니다. JC-STAR의 인증 대상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트워크 장비 – Router, Network Camera, Smart Home appliance 등. 2) 산업용 장비 – 공장 자동화(PLC, DCS) 및 제어 시스템 등 3) 일반 IT 기기 - PC, Tablet, Smartphone 등과 같이 사용자가 보안 설정을 자유롭게 변경 할 수 있는 기기는 제외 이 …
ISSUE 20
(일본: TE Symbol) 전기통신사업법 인증 Symbol의 변경
Global Global Regulatory Updates SCROLL Global 01 : 일본 (일본: TE Symbol) 전기통신사업법 인증 Symbol의 변경 2025년 1월 1일부터, 일본의 전기통신사업법의 인증 카테고리 변경이 시행 되었습니다. 기존까지 인증받는 제품들은 기존의 인증번호 체계를 유지되며, 1월 1일부터 인증받는 제품들은 새로운 Category에 따라 인증번호가 부여됩니다. …
ISSUE 21
(태국: Wi-Fi 6E) Wi-Fi 6E 승인 관련 업데이트
Global 10 : 태국 (태국: Wi-Fi 6E) Wi-Fi 6E 승인 관련 업데이트 11월 15일, 태국 NBTC(National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mmission of Thailand) 는 Wi-Fi 6E 에 대한 Technical standard (1039-2567)을 업데이트하였습니다. 기존 발표한 Technical Standard 1039-2566 에 따라, 태국에서는 5925-6425 MHz 에 대한 승인을 위해서는 반드시 FCC Part 15.407에 대한 성적서가 요청되었으나, EN 303 687 성적서 제출을 통해서도 해당 대역에 대한 승인 진행이 가능하도록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 출처: Thailand_WIFI 6E (1039_2567)_2024
ISSUE 21
(인도네시아: MRA) MRA 성적서만 인정 예정
Global 09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MRA) MRA 성적서만 인정 예정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 (KOMINFO)가 PERMEN KOMINFO No. 5 of 2024 에 대한 발표를 통해 SDPPI 승인을 위한 MRA 및 Non-MRA 시험소에 대한 결정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 1) 인도네시아 자국 시험소 외, "해외 인정 시험소"의 성적서는 2026년 12월 31일까지 유효하며, 이후에는 해외 성적서는 MRA 성적서만 인정 가능 2) 현재 등록된 해외 인정 시험소 리스트에 신규 시험소 추가 불가 출처: Indonesia_SDPPI_NOMOR 5 TAHUN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