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20
(한국: 통합공공망용 IoT, 드론탐지레이다, 아날로그 무전기) 고시 개정 예정
KC 02 (한국: 통합공공망용 IoT, 드론탐지레이다, 아날로그 무전기) 고시 개정 예정 전파연구원에서 「간이무선국·우주국·지구국의 무선설비 및 전파탐지용 무선설비 등 그 밖의 업무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을 4월 18일까지 의견 수렴 중에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최종 기술기준이 개정되면 추가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내용] 1) 통합공공망(재난안전통신망)에서 IoT를 사용할 수 있도록 IoT 단말기 송•수신장치 기술기준 신설 - 안테나공급전력, 점유주파수대역폭, 주파수허용편차, 대역외발사, 스퓨리어스발사, 불요발사 인접채널누설전력 등 - 기기부호: IPN5 2) 드론탐지레이다 정의 및 혼•간섭 영향 최소화를 위한 기술기준 신설 - 점유주파수 대역폭, 스퓨리…
ISSUE 20
(한국: USB-C 커넥터) USB-C 커넥터 강제화 시행 연기
KC Korea Certification SCROLL KC 01 (한국: USB-C 커넥터) USB-C 커넥터 강제화 시행 연기 2025년 2월 14일에 시행 예정이었던 USB-C 커넥터 강제화가 기술기준(고시)의 규제심사가 확정되지 않아 시행이 연기되었습니다. 규제심사 결과에 따라 일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시행일은 현재 알 수 없는 상황으로 시행일자는 결정되는 즉시 안내 드리겠습니다.
ISSUE 21
(한국: USB-C 커넥터) USB-C 커넥터 강제화 예정
KC 02 (한국: USB-C 커넥터) USB-C 커넥터 강제화 예정 국내에서도 유럽과 동일하게 USB-C 커넥터가 강제화 될 예정입니다. 지난 11월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모바일·스마트기기 등 방송통신기자재의 충전 및 데이터 전송 방식에 관한 기술기준”에 대한 제정(안)을 발표하였습니다. 2025년 1월 8일까지 의견 수렴 기간이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내용] 1. 적용 대상기자재 1) 휴대폰 2) 태블릿 3) 디지털 카메라 4) 헤드폰 5) 헤드셋 6) 휴대용 비디오 게임기 7) 휴대용 스피커 8) 전자책리더 9) 키보드 10) 마우스 11) 휴대용 내비게이션 장치 12) 이어폰 13) 노트북 2. 적합성평가 유형 …
ISSUE 21
(한국: 저궤도 위성통신) 저궤도 위성통신 도입 예정
KC Korea Certification SCROLL KC 01 (한국: 저궤도 위성통신) 저궤도 위성통신 도입 예정 전파연구원은 저궤도 위성통신을 이용한 초고속ᆞ저지연 통신 서비스 도입을 위한 기술기준을 마련하고자 12월 13일까지 의견 수렴을 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최종 기술기준이 개정되면 추가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내용] 1. 지구국의 운용 제원 1) 통신상대: 고도 600 km 이하의 고정위성업무용으로 운용되는 비정지궤도 위성 …
ISSUE 19
(한국: 인도네시아 MRA) 인도네시아 MRA 1단계 체결
KC 02 (한국: 인도네시아 MRA) 인도네시아 MRA 1단계 체결 지난 5월 27일, 전파연구원은 인도네시아와 MRA 1단계를 체결하였습니다. 이에 전파연구원은 7월 29일 인도네시아 MRA 설명회를 개최하였으며, MRA의 설명 및 인도네시아 MRA에 대해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내용] 1) ‘24년 5월 27일 인도네시아 MRA 1단계가 체결되었음 2) 양국 간 신뢰구축을 위해 1년간 유예되며, ‘25년 6월 1일부터 시행 예정임 3) 체결분야: 유선, 무선, EMC (*SAR는 추후 협상 예정) 출처: MRA 설명회 발표자료
ISSUE 19
(한국: 자기적합확인제도 도입) 적합성평가 고시 개정
KC Korea Certification SCROLL KC 01 (한국: 자기적합확인제도 도입) 적합성평가 고시 개정 지난 뉴스레터에서 안내드렸던 자기적합확인제도 도입에 대하여, 전파연구원은 7월 24일에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를 개정하였습니다. 해당 사항은 즉시 적용되었으며,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요 내용] 1. 자기적합확인제도 도입 ① 자기적합확인제도란 미국의 SDoC 및 유럽의 DoC와 유사한…
ISSUE 18
(한국: Wi-Fi 7) Wi-Fi 7 인증 가능
KC 04 (한국: Wi-Fi 7) Wi-Fi 7 인증 가능 5월 30일에 Wi-Fi 7을 위한 기술기준 및 시험방법이 발표되어, 해당일부터 Wi-Fi 7 인증이 가능해졌습니다. Wi-Fi 7 적용을 위한 다중 RU 크기, 할당 조건 등 시험 조건과 안테나 공급전력 시험방법이 추가되었으며, 기술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파수대역 (MHz) 점유주파수 대역폭 안테나 절대이득을 포함한 복사전력 비고 …
ISSUE 18
(한국: 전기자동차 유선충전기) 전기자동차 유선충전기 기준 마련 예정
KC 03 (한국: 전기자동차 유선충전기) 전기자동차 유선충전기 기준 마련 예정 5월 10일, 전파연구원은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전기자동차 유선충전기기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마련을 위해 행정예고를 발표하였습니다. 7월 9일까지 의견 수렴 기간이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내용] 1. A급 기기/B급 기기 정의에 전기자동차 유선충전기기 추가 2. 전기자동차 유선충전기기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신설 출처: 전자파적합성 기준 일부개정(안)
ISSUE 18
(한국: 자기적합확인제도 도입) 적합성평가 고시 개정 예정
KC 02 (한국: 자기적합확인제도 도입) 적합성평가 고시 개정 예정 지난 4월 26일, 전파연구원에서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가 발표되었습니다. 6월 26일까지 의견수렴을 거쳐 다음 주요 내용과 같이 개정될 예정이며, 개정 고시가 발표되면 재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내용] 1. 자기적합확인제도 도입 ① 자기적합확인제도란 미국의 SDoC 및 유럽의 DoC와 유사한 제도로, 신청인이 제품의 적합함을 선언하는 제도임. ② 기존의 자기시험 적합등록 대상기자재 및 조명기기류가 자기적합확인 대상기자재로 지정될 예정임. ③ 자기적합확인 대상기자재는 새로운 관리번호 적용. …
ISSUE 18
(한국: 대상기자재 분류) 적합성평가 고시 개정
KC Korea Certification SCROLL KC 01 (한국: 대상기자재 분류) 적합성평가 고시 개정 지난 2023년 12월 29일에 개정된 적합성평가 고시가 6개월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24년 6월 30일부터 시행됩니다. 불명확하고 모호했던 적합성평가 대상기자재의 정의가 추가되었고, 대상기자재의 분류도 체계적으로 개정되었습니다. 예시1) 컴퓨터 주변기기류 …